이름과 얼굴 사진 아래 응급구조사라고 쓰여있는 명찰. <br /> <br />박 모 씨는 이 명찰을 가슴에 차고 사설 구급 업체에서 일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보건복지부에 문의한 결과, 박 씨는 응급구조사 자격증이 없는 무자격자였습니다. <br /> <br />아래 빨간 띠가 그려진 응급 출동용 사설 구급차는 출동 때마다 응급구조사 1명이 타야 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곳 업체에선 무자격자 직원이 대신 탑승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응급의료법은 의료인을 제외하곤 대학이나 양성 기관에서 일정 기간 교육을 받고 응급구조사 자격시험에 합격한 경우에 응급 의료 행위를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위반 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박 씨가 근무하는 사설 구급 업체에선 무시되기 일쑤였습니다. <br /> <br />같은 업체 동료 이 모 씨도 아무런 자격증 없이 환자 이송 응급차량에 탑승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['무면허 사설 구급업체' 제보자 : 산소마스크 쓴 환자, 15L를 넣는 응급 환자를 임의대로 산소도 작동하고 응급환자를 이송하고….] <br /> <br />어떻게 무자격자가 응급구조사 행세를 할 수 있었을까? <br /> <br />업체 내부 사정을 잘 아는 관계자는 휴직 중인 응급구조사들의 자격증을 빌려 와 무자격자들에게 제공해왔다고 폭로했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해당 업체가 중앙응급의료센터에 보낸 응급구조 일지를 YTN 취재진이 확인해봤더니, 박 씨와 이 씨의 이름 대신 다른 1·2급 응급구조사들 이름만 나와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['무면허 사설 구급업체' 제보자 : 서로 일 안 하는 사람에게 전화해서 응급구조사 번호 좀 빌려줄 수 있겠느냐 (하고) 면허증을 사서 빌리고…. 이름과 구조사 번호만 알면 본인 확인은 안 하기 때문에….] <br /> <br />해당 업체 대표에게 사실인지 물어보자 무자격자가 구급차에 탑승한 사실 자체가 없다고 부인하며 취재를 강하게 거부했습니다. <br /> <br />['무면허 사설 구급업체' 대표 : 나가세요, 좀. 당신들 저희한테 이거 인권(침해) 아니에요?] <br /> <br />다른 업체 관계자는 무자격자가 있다는 사실은 인정하면서도, 응급 이송차량에 타게 한 적은 없다고 잡아뗍니다. <br /> <br />['무면허 사설 구급업체' 관계자 : (자격증이 있다는 말씀이세요?) 아니요. 일반 (이송) 차는 탈 수 있잖아요. (응급 차량에도 탔던 걸로 나오는데요?) 그건 모르겠어요. 전화하지 마세요.] <br /> <br />경기도는 해당 업체가 작성한 응급구조 일지에서 잘못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11129100024582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